의미: まま継まま[継] [접두어] 《名詞 앞에 붙어 복합어를 만듦》핏줄이 이어져 있지 않음을 나타냄. 【例】 まま母 계모 【例】 まま兄弟 이복 형제.儘まま[儘] [명사] 《흔히, 形式名詞적으로 씀》 1.[명사]되는대로 내맡김. 그대로 됨. 【例】 なすがままになる 하는 대로 되다 【例】 したいままにさせておく 하고 싶은 대로 내버려 두다 【例】 波のままに漂う 물결치는 대로 떠다니다 【例】 山荘は荒れるままになっている 산장은 황폐할 대로 황폐해 있다 【例】 ええ, ままよ 에이, 될대로 되라. 2.[명사]뜻대로 임. 생각대로 임. 【例】 ままにならぬ世の中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 【例】 万事思うままに行った 만사 뜻대로 되었다. 3.[명사]그 상태 그대로임. 〔참고〕 사본·교정지에서 원문(原文)과 같다는 뜻으로 「ママ」라고 かたかな로 씀. 【例】 昔のままの故郷 옛날 그대로의 고향 【例】 もとのままで進歩しない 본래의 상태 그대로고 진보가 없다 【例】 思ったままを言う 생각한 그대로를 말하다 【例】 靴のまま上がって下さい 구두를 신은 채로 올라오십시오 【例】 ありのままを書け 사실대로 써라.飯まま[飯] [명사]《유아어》 맘마. 밥. 〔동의어〕まんま.間間まま[間間] [부사] 때때로. 간간이. 가끔. 간혹. 〔동의어〕ときどき. 【例】 ままの便り 간혹 있는 편지[소식] 【例】 まま誤りがある 간혹 잘못이 있다 【例】 忘れることもままある 잊는 수도 간혹 있다.まま 1.[접속조사]『문어』 〈名詞 「まま」에 助詞 「に」가 붙은 꼴인 「ままに」가 변한 것인 듯〉 候文의 편지 등에 써서 이유를 설명하는 뜻을 나타냄〉 …이니.…므로. …에 따라. 【例】 旅行中のお話など承りたきままぜひ御来駕のほどを 여행중의 이야기 등을 듣고 싶사오니 꼭 왕림하시옵기를 【例】 回復いたし候まま, ご休心下されたく 회복되었사오니 방념하시기를. 2.[접속조사]〈名詞 「まま」에 助詞 「で」가 붙은 꼴인 「ままで」가 변한 것인 듯. 완료의 助動詞 「た」에 이어 「…たまま」의 꼴로 쓰임〉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유지된 상황에서 다른 동작이 이루어지는 뜻을 나타냄. …한 채[대로]. 【例】 出掛けたまま戻らない 나간 채 돌아오지 않는다 【例】 帽子はかぶったままでよい 모자는 쓴 채로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