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ならないならない [연어] 《動詞 「なる」의 未然形 「なら」+否定의 助動詞 「ない」. 여러 어구에 붙어 補助動詞적으로 씀》 1.[연어]〈흔히, 動詞의 連用形+「ては」의 꼴에 붙어〉 마땅히 그 동작이 부정되어야 함을 나타냄. 특히, 문말에 올 때는 금지를 나타냄. 안 되다. 【例】 知らせてはならない 알려서는 안 되다 【例】 たばこを吸ってはならない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되다. 2.[연어]〈否定의 助動詞를 받아 「なくては~」 「なければ~」 「ねば~」의 꼴로〉 의무·책임이 있음을 나타내거나 당연·필연의 뜻을 나타냄. …해야 하다. …이어야 하다. 【例】 出席しなくてはならない 출석하지 않으면 안 되다[해야만 하다] 【例】 二,三日の内に決めねばならない 2,3일 내에 결정해야 하다 【例】 車を修理せねばならない 차를 수리해야 하다 【例】 各大臣は文民でなければならない 각 대신[장관]은 문민이어야 한다. 3.[연어]〈助動詞 「だ」의 連用形 「で」나 形容詞·動詞의 連用形 「て」에 붙어〉 어찌할 수 없다. 못 견디겠다. 참을 수 없다. 【例】 心配でならない 걱정이 되어 못 견디겠다 【例】 悲しくてならない 슬퍼서 견딜 수 없다 【例】 不思議に思えてならない 이상하게 여겨져서 견딜 수 없다. 4.[연어]…할 수 없다. 【例】 油断ならない 방심할 수 없다 【例】 我慢がならない 참을 수 없다 【例】 どうにもならない 어쩔 도리가 없다. 5.[연어]〈断定의 助動詞 「だ」의 連用形 「で」+「は」에 붙어〉 부정의 뜻을 가진 결의를 나타냄. 〔참고〕 「なりません」은 공손한 말. 【例】 これではならない 이래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