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規矩危懼きく[危懼] [명사·サ변격 활용 타동사]『문어』 ⇒ 危惧.起句きく[起句] [명사] 기구. 〔반의어〕 結句. 1.[명사](한시에서) 절구(絶句)의 제 1 구. 2.[명사]문장의 첫구.菊きく[菊] 1.[명사]『식물·식물학』 국화. 〔동의어〕長月花. 2.[명사]국화문(菊花紋). 【例】 きくの御紋章 일본 황실의 문장(紋章).規矩きく[規矩] [명사]『문어』 규구. 1.[명사]컴퍼스와 곱자. 2.[명사]규준. 모범. 규칙.利くきく[利く] <Ⅰ> 1.[5단 활용 자동사]효력이 있다. 듣다. 【例】 頭痛によくきく薬 두통에 잘 듣는 약 【例】 酒がきかない 술이 오르지 않다 【例】 脅かしがきくと思うか 위협이 먹혀들 줄 아느냐. 2.[5단 활용 자동사]가능하다. 통하다. 【例】 つけのきく店 외상이 통하는 가게 【例】 融通がきけばいいが 융통이 되면 좋은데 【例】 無理がきくはずがない 무리가 통할 리 없다 【例】 やり直しがきく 다시 할 수가 있다 【例】 顔がきく 얼굴이 통하다. 안면이 넓어 말발이 서다. 3.[5단 활용 자동사]능력[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다. 잘 움직이다. 〔참고〕 1.은 「効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例】 腕がきく大工 솜씨가 있는 목수 【例】 左手のきく人 왼손을 잘 쓰는 사람 【例】 気がよくきく ㉠눈치가 빠르다. ㉡세심한 데까지 주의하다 【例】 ブレーキがきかない 브레이크가 듣지 않다. <Ⅱ>[5단 활용 타동사] 《「口を~」의 꼴로》 1.[5단 활용 타동사]말을 하다. 【例】 あれ以来一言も口をきかない 그 이후 한 마디도 말을 하지 않는다. 2.[5단 활용 타동사]주선해 주다. 거들어 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例】 ひとつ口をきいてやろうか 한마디 거들어 줄까.聞くきく[聞く] 1.[5단 활용 타동사](말이나 소리를) 듣다. 〔참고〕 1.은 「聴く」로도 씀. 【例】 話声をきく 말소리를 듣다 【例】 ラジオをきく 라디오를 듣다 【例】 音楽をききながら勉強する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하다 【例】 講演をききに行く 강연을 들으러 가다. 2.[5단 활용 타동사](남의 말을) 받아들이다. 【例】 親の言いつけをよくきく子 부모의 지시를 잘 듣는 아이 【例】 妻のいうことをよくきく 아내의 말을 잘 들어 주다 【例】 友人の忠告をきく 친구의 충고를 받아들이다. 3.[5단 활용 타동사]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問う. 〔참고〕 3.은 「訊く」 「尋く」로도 씀. 【例】 交番で道をきく 파출소에서 길을 묻다 【例】 彼の都合をきく 그의 형편을 묻다. 4.[5단 활용 타동사](냄새를) 맡다. 【例】 香をきく 향기를 맡다. 5.[5단 활용 타동사](술 등의 맛을) 맛보다. 【가능동사】 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例】 酒をきく 술을 맛보다[시음하다]. 慣用句 き·く耳を持た·ない (다른 사람의 말을 처음부터) 들을 의사가 없다. 聞いて呆れ·る (말과 실제가 너무도 달라) 듣기만 해도 어처구니가 없다. 聞いて極楽見て地獄 말로 듣는 것과 실제로 보는 것과 큰 차이가 있음을 이르는 말. 聞きしに勝·る 이야기로 듣던 바 이상이다. 소문보다 훨씬 더하다. き·くは一時の恥聞かぬは一生の恥 묻는 것은 한 때의 수치, 묻지 않는 것은 일생의 수치. 聞けば聞き腹 (듣지 않으면 아무렇지도 않은 것도) 들으면 화가 남.崎嶇きく[崎嶇] [トタル형 활용의 형용동사]『문어』 기구. 1.[トタル형 활용의 형용동사]산길이 험함. 2.[トタル형 활용의 형용동사](변하여) 인생 행로가 평탄치 못하고 고생이 많음. {문어·タリ 활용}菊きく[菊] 국화. 【例】 菊花 국화 【例】 菊人形 국화꽃으로 꾸민 인형 【例】 寒菊 한국 【例】 残菊 잔국 【例】 春菊 춘국. 쑥갓 【例】 乱菊 꽃잎이 어지러이 핀 국화 【例】 除虫菊 제충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