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唾ツつ[ツ] 五十音図 「た」행(行)의 셋째 かな. ひらがな 「つ」는 「川」의 초서체. かたかな 「ツ」는 「州」의 약체(略體) 또는 「川」의 변형이라 함.つ [접미어] 《하나부터 아홉까지의 고유어 数詞에 붙어》 개수나 나이 등을 나타냄. 【例】 ひとつ 하나 【例】 ここのつ 아홉 【例】 りんごが五つ 사과가 다섯 개 【例】 今年で七つになる 올해 일곱 살이 된다.津つ[津] [명사] 나루터. 항구.〔동의어〕渡し場·船着き場. 〔참고〕 「難波」는 지금의 大阪시와 그 부근의 옛이름. 【例】 難波のつ 難波 나루터.唾つ[唾] [명사]《고어》 침. 타액. 〔동의어〕つば·つばき. 【例】 つ湧きて堪えがたし 침이 나와 참을 수 없다.つ <Ⅰ>[격조사] 『문어』 《体言과 体言을 「の」의 관계로 잇는 구실을 하는 말》 흔히 장소를 나타내는 体言에 붙어 連体修飾語임을 나타내고, 소유·소속 등의 뜻을 나타냄. 格助詞 「の」의 용법의 일부에 해당함. …의. 【例】 国つ神 나라의 신 【例】 それより下つ方 그보다 아래쪽. <Ⅱ>[접속조사] 『문어』 《完了의 助動詞 「つ」의 변한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흔히, 「…~…~」의 꼴로 씀》 두 가지 동작·작용이 동시에, 또는 잇달아 행하여짐을 나타냄. …하기도 하고 …하기도 하고. 【例】 見えつかくれつして 보였다 안 보였다 하여 【例】 抜きつ抜かれつした 앞서거니뒤서거니 했다 【例】 差しつ差されつしながら 권커니 작커니 하면서 【例】 家の前を行きつ戻りつする 집 앞을 왔다갔다 하다.つ [조동사]『문어』 《用言과 일부의 助動詞 「る」 「らる」 「す」 「さす」 「しむ」 등의 連用形에 붙음》 1.[조동사]동작·작용의 완료의 뜻을 나타냄〉 … 해 버리다. …(이)었다. …했다. (반드시, 꼭) …하다. 【例】 雀の子を逃しつる 참새 새끼를 놓쳐 버렸다 【例】 波立てつべし 틀림없이 파도가 일었을 것이다. 2.[조동사]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냄. …하였다. 【例】 早や積み果てつ 벌써 다 실었다 【例】 岸近き宿にのぼりつ 강언덕에 가까운 숙소에 올라섰다. 3.[조동사]〈진술에 대한 확인을 나타냄〉 틀림없이 …하였다. 【例】 なお死なでありつる 아직 죽지 않았다.唾つば[唾] [명사] 침. 타액. 〔동의어〕つわ·つばき. 【例】 生つば 군침 【例】 つばを飲み込む 침을 삼키다 【例】 手につばをする 손에 침을 묻히다. 일에 착수하려고 벼르다 【例】 つばを吐く 침을 뱉다. 慣用句 つばを付けて置·く 타인에게 빼앗기지 않도록 미리 손을 써 두다.鍔|鐔つば[鍔|鐔] 1.[명사]날밑. 2.[명사]솥전. 3.[명사]모자의차양.唾つばき[唾] [명사] ⇒ つば.椿つばき[椿] [명사]『식물·식물학』 동백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