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野ノの[ノ] 五十音図 「な」행(行)의 다섯 째 かな. ひらがな 「の」는 「乃」의 초서체, かたかな 「ノ」는 「乃」의 첫 획을 취한 것.幅の[幅] [조수사] 《수를 나타내는 고유어에 붙어》 천의 너비를 세는 말. 폭. 〔참고〕 「一幅」는 보통 경척(鯨尺)으로 9치 내지 한 자(약 30~ 36cm). 【例】 三のぶとん 세 폭 이불.野の[野] <Ⅰ> 1.[명사]들. 들판. 〔동의어〕野原. 【例】 の越え山越え 들을 넘고 산을 넘어. 2.[명사]논밭. 〔동의어〕田畑. 【例】 のを耕す 논밭을 갈다 【例】 のの仕事 논밭일. 들일. <Ⅱ>[접두어] 《동식물 이름에 붙어》 야생의. 【例】 のうさぎ 산토끼 【例】 のばら 찔레나무 【例】 のいちご 산딸기 【例】 のねずみ 들쥐 【例】 の菊 들국화. 慣用句 のとなれ山となれ (당면 문제만 잘 되면) 나중은 어떻게 되든지 상관 없다. 〔동의어〕あとは野となれ山となれ. のに置·く 자연 그대로 두다. 손을 대지 않다. のに伏し山に伏·す 들에 엎드리고, 산에 엎드리다. ((여행 도중에 고생을 거듭함의 비유))箆の[箆] [명사] 화살대. 〔동의어〕矢柄.の <Ⅰ>[격조사] 《体言 또는 体言으로 취급되는 말에 붙음. 体言을 수식하므로 連体修飾格, 소유 혹은 소속을 나타내므로 所有格이라 불린다》 1.[격조사]소유·소속을 나타냄. …의. 【例】 わたしの本 나의 책. 내 책 【例】 父の財産 아버지의 재산 【例】 異国の空 이국의 하늘 【例】 君への手紙 자네에게 보내는 편지 【例】 学校の先生 학교 선생님. 2.[격조사]소재(所在)·시기(時期) 등을 나타냄. …에 있는. …동안의. 【例】 国境のトンネル 국경에 있는 터널 【例】 春の小川 봄철의 시내. 3.[격조사]작자(作者)를 나타냄. …이 지은. 【例】 モーパッサンの小説 모파상의[이 지은] 소설. 4.[격조사]내용적인 관련을 나타냄. …에 관한. 【例】 料理の本 요리책 【例】 歌の会 노래 모임. 5.[격조사]명칭을 나타냄. …의. 【例】 堺の街 堺 (도시) 【例】 大和の国 大和 나라[지방]. 6.[격조사]동격(同格)을 나타냄. …인. …라는. 【例】 社長の山田さん 사장인 山田씨 【例】 よろしくとのお言葉 안부 전해 달라는 말씀. 7.[격조사]〈상대적 개념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이 개념이 적용되는 대상·기준을 나타냄. 【例】 文章の中にある言葉 문장 속에 있는 말 【例】 山のあなたの空 산 저쪽의 하늘. 8.[격조사]〈뒤에 「ため」 「よう」 「故」 등의 形式名詞가 따르며〉 실질(實質)을 나타냄. 【例】 毎日のように 매일처럼 【例】 お国のために 나라를 위하여 【例】 病気のために心配する 병환 때문에 걱정하다. 9.[격조사]〈성상(性狀)·수량·순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속성(屬性)·종별을 나타냄. …(으)로 된. 【例】 アスファルトの道 아스팔트(로 된) 길 【例】 生みの親 생부모 【例】 器量よしの女 인물이 잘생긴 여자. 10.[격조사]〈동작을 나타내는 名詞가 따르며〉 동작의 주어를 속격(屬格)의 꼴로 간접적으로 나타냄. …의. …가 하는. 【例】 群雀の声, 竹のそよぎ, 雲の光 참새떼의 지저귐, 대나무의 산들거림, 구름 사이로 보이는 빛. 11.[격조사]〈동작을 나타내는 名詞가 딸리어〉 동작의 목적어에 해당하는 것을 속격(屬格)의 꼴로 간접적으로 나타냄. …을[를]…하는데. …의 …에. 【例】 どの位妻の選択に滑稽なる失敗を重ねてきたか 아내를 선택하는데[아내의 선택에] 얼마나 많은 우스꽝스러운 실패를 거듭했던가. 12.[격조사]〈体言의 連体修飾句와 被修飾語의 중간에 위치하는 꼴로〉 동격(同格)을 나타냄. …라고 하는. 〔동의어〕…という. 【例】 自由の天地に逍遥したいの願い 자유의 천지에 유람하고 싶다는 바람. 13.[격조사]〈連体修飾句 속에서 쓰이어〉 주격(主格) 혹은 대상격(對象格)을 나타냄. …가. …이. …를[을]. 【例】 雪の降る夜 눈이 내리는 밤 【例】 おしゃべりの好きな人 수다떨기(를) 좋아하는 사람. 14.[격조사]〈名詞句에 쓰여〉 주격 또는 대상격을 나타냄. …가[이]. …를[을]. 【例】 雨の降らないのを歎く 비가 오지 않는 것을 한탄하다 【例】 言葉の読み書きの下手な人 말을 읽고 쓰는 것이 서투른 사람. 15.[격조사]『문어』 〈주문(主文) 속에 쓰이어〉 주격(主格)을 나타냄. …이[가]. 【例】 山のあなたの空遠く「幸」住むと人の言ふ 산 너머 저쪽 하늘 멀리 ‘행복’이 산다고 사람들이 말한다. 16.[격조사]〈被修飾語가 修飾語의 앞에 나와, 文語에서는 修飾句가 連体形, 口語에서는 修飾句에 準体助詞 「の」가 붙은 꼴로〉 서술(敍述)에 초점을 둠. 【例】 酒の甘口のが好きだ 단맛이 도는 순한 술을 좋아한다. <Ⅱ> 1.[준체(準體)조사]〈「体言+~」의 꼴로〉 …의 것. 【例】 あのお金は彼のではないらしい 저 돈은 그 사람(의) 것은 아닌 것 같다. 2.[준체(準體)조사]〈連体形으로 끝나는 어구 또는 連体詞에 붙어 名詞句를 만듦〉 것. 일. 〔동의어〕こと·もの·ようす. 【例】 楽隊の来るのが見える 악대가 오는 것이 보인다 【例】 おれにもいいのをくれよ 나에게도 좋은 것을 다오 【例】 こんなのが江戸っ子か 이 따위 것[모양]이 東京내기란 말인가. <Ⅲ>[병렬조사] 《体言 또는 名詞句에 붙음》 1.[병렬조사]〈「A~ B~」의 꼴로〉 이것저것 열거함을 나타냄. …느니 …느니. 【例】 四の五の言わせぬ 이러쿵저러쿵 말을 못하게 하다 【例】 辛いのすっぱいのと味にうるさい 맵다느니 시다느니 하고 음식 맛에 까다롭다 【例】 生きるの死ぬのって大げさなことを言う 산다느니 죽는다느니 하고 야단스런 소리를 하다. 2.[병렬조사]〈「…~…ない~」의 꼴로, 흔히 否定의 「ない」가 딸리어〉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이다. …하다. 【例】 痛いの痛くないのって部屋中を暴れ回る 아프다느니 아프지 않다느니 하며 온통 방구석을 뒹군다. 3.[병렬조사]〈「…~なん~」의 꼴로〉 ㉠무척 …해서. 〔동의어〕とても…で. ㉡남의 말을 例示함. …느니…느니. 【例】 値段の高いのなんのって目がとび出る程だ 값이 몹시 비싸서 눈알이 튀어나올 정도다. 【例】 病気だったのなんのと弁解ばかりする 아팠다느니 무어니 하면서 변명만 한다. <Ⅳ>[종(終)조사] 《準体助詞 「の」가 변한 것. 用言의 連体形에 붙음. 주로 여성 또는 아동이 씀》 1.[종(終)조사]〈断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가벼운 단정을 부드럽게 나타냄. …것입니다.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 【例】 いいえ, 違うの 아니오, 틀려요 【例】 わたしとてもいやなの 저는요 아주 싫어요 【例】 わたしには行くところがありますの 저에게는 갈 데가 있거든요. 2.[종(終)조사]〈질문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질문을 부드럽게 나타냄. …것입니까?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か. 【例】 何か悲しいことでもあったの 무언가 슬픈 일이라도 있었어요? 【例】 どうしてそんなに早くお歩きになりますの 왜 그렇게 빨리 걸으세요? 【例】 あれがソウル駅なの 저것이 서울역이에요? 3.[종(終)조사]〈확인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질문하는 꼴로〉 가벼운 자기 확인을 나타냄. …인 것입니까?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か. 【例】 そう, あなたもそこにいらっしたの 그래요, 댁도 거기에 계셨어요? 4.[종(終)조사]〈강한 어투가 따르며〉 그렇게 할 것을 촉구함. 그렇게 해요. 【例】 さあ, 宿題をすませてからテレビを見るの 자, 숙제를 마친 다음에 텔레비전을 보도록 해요 【例】 いつまでもめそめそしないの 언제까지나 훌쩍거리지 말아요.ヤや[ヤ] 五十音図 「や」행(行)의 첫째 かな. ひらがな 「や」는 「也」의 초서체, かたかな 「ヤ」는 「也」의 초서체를 줄인 것.や [접미어]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例】 ねえや 누나. 언니 【例】 坊や 아가. 도련님 【例】 婆や 할멈.屋|家や[屋|家] <Ⅰ>[접미어] 《흔히, 体言에 붙어》 1.[접미어]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例】 魚や 생선 가게[장수] 【例】 米や 쌀 가게[장수] 【例】 貸本や 대본집 【例】 質や 전당포 【例】 薬や 약국. 약방. 2.[접미어]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例】 新聞や 신문쟁이 【例】 政治や 정치꾼. 정상배 【例】 左官や 미장이. 3.[접미어]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例】 やかましや 잔소리꾼 【例】 分からずや 고집쟁이. 벽창호 【例】 気取りや 거드름부리는 사람 【例】 千三つや 거짓말쟁이. 허풍쟁이 【例】 恥ずかしがりや 부끄러움[수줍음]을 타는 사람. 4.[접미어]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例】 紀の国や 紀の国 상점 【例】 鈴のや 江戸 시대의 학자인 「本居宣長」의 아호. <Ⅱ>[명사] 『문어』 1.[명사]집. 〔동의어〕いえ. 【例】 このやの主人 이집 주인 【例】 田舎や 시골 집 【例】 2階や 이층 집 【例】 や鳴り 집이 울림[울리는 소리]. 2.[명사]《고어》 지붕.八や[八] 1.[명사]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例】 七転びや起き 칠전팔기 【例】 五六七や 다섯 여섯 일곱 여덟. 2.[명사]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例】 や重咲き 꽃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핌. 또는 그 꽃.矢|箭や[矢|箭] 1.[명사]화살. 【例】 弓にやをつがえる 활에 화살을 메기다. 2.[명사]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例】 光陰やのごとし 세월이 쏜살같이 빠르다 【例】 やの催促 성화같은 독촉. 3.[명사]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慣用句 やでも鉄砲でも持って来い 어떤 수단·방법을 써도 좋으니 덤벼라. 덤빌 테면 덤벼 보아라. やの如·し 화살과도 같다. ((빠름, 또는 똑바로 나아감의 비유)) やの使い 1.긴급 사자(使者). やも楯もたまらな·い (어떤 일을 하고 싶어서) 애간장이 타다. 좀이 쑤셔 견딜 수 없다. 【例】 やも楯もたまらなくなって彼女に会いに行く 애간장이 탄 나머지 그녀를 만나러 가다. やを射るが如し (빠르기가) 쏜 화살과 같다. 어떤 일의 진행이 매우 빠름의 비유.輻や[輻] [명사] (수레의) 바퀴살.野や[野] 1.[명사]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例】 やを開き耕す 들을 개간하고 경작하다. 2.[명사]야. 민간. 〔반의어〕 朝. 【例】 やの人として 야인[민간인]으로서. 3.[명사][형용동사]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例】 動作がやなるが為に 행동이 천하기 때문에. 慣用句 やに遺賢無し 현인은 모두 등용(登用)되어 민간에 숨은 인재가 없다. ((훌륭한 인재가 모여 정치를 하니 천하가 태평하다는 뜻)) やに下·る 하야(下野)하다. 관직을 떠나 민간인으로 돌아가다.や 1.[감동사]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例】 や, 元気かい 어이, 잘 있었나? 【例】 や弱ったな 야 낭패로군. 2.[감동사]놀라거나 문득 생각났을 때 내는 소리. 저런. 어머나. 아이쿠. 【例】 や, これはしまった 아이쿠, 이거 큰일났군. 3.[감동사]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や [계(係)조사]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例】 昨夜ちっとも寝やしなかった 어젯밤은 조금도 자지를 못했다.や <Ⅰ>[문투(問投)조사]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1.[문투(問投)조사]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例】 春子や, ちょっとおいで 春子 야, 이리 좀 오렴. 2.[문투(問投)조사]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例】 今や我々は革命の前夜を迎えんとしている 지금이야말로 우리들은 혁명 전야를 맞이하려 하고 있다. 3.[문투(問投)조사](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例】 古池や蛙飛び込む水の音 해묵은 연못이여 개구리 뛰어드는 물소리 나누나. <Ⅱ> 1.[종(終)조사]『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例】 古里の, 小野の木立に笛の音の潤む月夜や 고향 들 나무숲에 피리 소리 촉촉히 젖어드는 달밤이여. 2.[종(終)조사]〈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例】 もう帰ろうや 이젠 돌아가세 【例】 早く行けや 빨리 가게. 3.[종(終)조사]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例】 ずう体はおれより大きいや 덩치는 나보다 크단 말야 【例】 君が行かなきゃつまらないや 네가 안 가면 재미 없단 말야. 4.[종(終)조사]『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例】 ありやなしや 있는가 없는가? 【例】 来らば来れ恐れんや 올 테면 오라지 두려워할까보냐. <Ⅲ>[계(係)조사]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例】 隣には福引の興やあるらむ, しきりにさざめく 옆집에서는 제비뽑기의 여흥이라도 있는지 자꾸만 웅성거린다. <Ⅳ>[병렬조사]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例】 山や川や森や 산이며 강이며 숲이며 【例】 新聞や雑誌を読む 신문이나 잡지를 읽다 【例】 菓子やジュースを買う 과자랑 주스를 사다. <Ⅴ>[접속조사]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1.[접속조사]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例】 日が傾くや, 山々は煙のごとく薄し 해가 기울자 산들은 연기처럼 희미하다 【例】 私の顔を見るや逃げだした 내 얼굴을 보자마자 달아났다. 2.[접속조사]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例】 この報に接するや否や, 救援に出動した 이 소식에 접하자마자 곧 구원하러 출동하였다 【例】 入って来るや否や, いきなり大声で笑った 들어오자마자 갑자기 큰소리로 웃었다.也や[(인명용 한자)也] (한문에서) 문장 끝에 붙어 영탄을 나타내거나 사람을 부르는 데 쓰는 조자(助字). 〔참고〕 回는 顔回(공자의 제자). 【例】 回也 회야.冶や[冶] 1.금속을 녹이다. 또는 금속을 녹여 물건을 만들다. 【例】 冶金 야금 【例】 陶冶 도야. 2.요염하다. 【例】 艶冶 염야.夜や[夜] 1.밤. 【例】 暗夜 암야 【例】 夜営 야영 【例】 夜学 야학 【例】 夜間 야간 【例】 初夜 초야 【例】 深夜 심야 【例】 徹夜 철야. 2.범어 「ヤ」의 차자. 【例】 夜叉 야차.耶や[(인명용 한자)耶] 1.아버지를 부르는 말. 【例】 耶嬢 야양. 아버지와 어머니 【例】 耶耶 야야. 할아버지 또는 아버지. 2.외국어 「ヤ」의 차자. 【例】 耶蘇 야소. 예수 【例】 摩耶夫人 마야 부인.野や[野] 1.벌판. 들. 【例】 野外 야외 【例】 平野 평야 【例】 広野 광야. 2.범위. 한계. 【例】 分野 분야 【例】 視野 시야. 3.자연 그대로의 상태이다. 【例】 野生 야생 【例】 野鳥 야조. 4.촌스럽다. 세련되지 않다. 거칠다. 【例】 野人 야인 【例】 野蛮 야만 【例】 粗野 조야. 5.걸맞지 않다. 지나치다. 【例】 野心 야심 【例】 野望 야망. 6.정부나 권력에서 떨어져 있다. 【例】 野党 야당 【例】 在野 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