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らしいらしい [접미어] 《名詞(때로는 副詞·形容動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1.[접미어]…답다. …스럽다. 【例】 かわいらしい 귀염성스럽다 【例】 学者らしい学者 학자다운 학자 【例】 ばからしくてお話にならない 어처구니가 없어서[기가 막혀서] 말도 안 된다 【例】 男らしい態度だ 남자다운 태도다 【例】 子供は子供らしくしなさい 어린이는 어린이답게 굴어요 【例】 いかにも彼らしいね 정말 그답군요. 2.[접미어]…인 듯한 기분이 들다. 【例】 好いたらしいお方 호감이 가는 분 【例】 いやらしい 싫다. 징그럽다 【例】 にくらしい 밉살스럽다 【例】 わざとらしい 고의적인 듯하다 【例】 主人らしい人が出て来た 주인인 듯한 사람이 나왔다.らしい [조동사] 《江戸 시대 이후에 形容詞를 만드는 接尾語 「らしい」가 助動詞로서 독립하여 쓰이게 된 것. 動詞·形容詞·助動詞(「う」 「よう」 「まい」 「だ」 「です」 「ようだ」 이외)의 終止形, 形容動詞·助動詞 「そうだ」의 어간, 体言, 상태·정도를 나타내는 副詞, 助詞(「の」 「から」 「まで」 「など」 「ばかり」 등)에 붙음》 1.[조동사]〈어떤 객관적인 상태·사실을 근거로 한 추량을 나타냄. 또는 근거가 될 만한 객관적인 상태·사실이 없는 경우에 단정적인 말을 피하고 완곡하게 표현함〉 …인 듯하다. …인 것 같다. …인 모양이다. 【例】 どこかで酒を飲んで来たらしく顔が赤い 어디선가 술을 마시고 온 모양으로 얼굴이 붉다 【例】 彼等はどうも学生らしかった 그들은 아무래도 학생 같았다 【例】 写真で見る限りお父さんは元気らしい 사진으로 보는 한 아버지는 건강하신 모양이다 【例】 あの二人はうまくいっていないらしい 저 두 사람은 사이가 썩 좋지 않은 듯하다. 2.[조동사]〈흔히 体言 또는 形容動詞에 붙어〉 잘 어울리는 상태, 또는 아주 비슷한 상태임을 나타냄. …답다. …스럽다. 〔참고〕 ㉠連用形 「らしゅう」는 「ございます」 「存じます」가 이어질 때 씀. ㉡仮定形에 「らしけれ」의 꼴은 없고, 대신에 「らしいなら」 「ようなら」 등을 씀. ㉢助動詞 「らしい」는 완곡하게 말하거나 비슷한 상태에 있음을 추정하며, 앞의 体言에 連体修飾語를 자유롭게 붙일 수 있는 데 비해서, 接尾語 「らしい」는 사물의 속성 개념(屬性槪念)으로서 기술하기 위해 쓰이므로 連体修飾語를 자유롭게 붙일 수가 없음. 가령, 같은 「男らしい」라도 「あの人が問題の男らしい」의 「らしい」는 助動詞이고, 「彼はんほんとうに男らしい」의 「らしい」는 接尾語임. 【例】 士官らしい待遇 사관다운 대우 【例】 無邪気らしい驚き方 천진스러운 놀람 【例】 妻らしい所がない 아내다운 구석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