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こそこそ <Ⅰ> 1.[계(係)조사]어떤 사항을 내세워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例】 わたしこそ失礼しました 저야말로 실례했습니다 【例】 これこそ僕が求めていたものだ 이것이야말로 내가 찾고 있던 것이다 【例】 それでこそ男だ 그러니까 사나이다 【例】 この問題こそ重要である 이 문제야말로 중요하다 【例】 その事を思えばこそぼくは沈黙を守ったのだ 그 일을 생각했기 때문에 나는 침묵을 지킨 거야 【例】 方法を知っていればこそたやすくできたのだ 방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쉽게 할 수 있었던 거다 【例】 愛すればこそ 사랑하기에. 2.[계(係)조사]어떤 사항을 일단 인정해 두고, 그와 대립적 또는 부정적인 사항을 말함. 【例】 感謝こそすれ, 怒る事はなかろう 감사할지언정 화낼 것은 없지 않은가 【例】 年こそ違え彼らはよい協力者だ 나이는 비록 차이가 있지만 그들은 좋은 협력자다 【例】 きれいにこそなれ, しみがつくようなことは絶対にありません 깨끗해질지언정, 얼룩지는 일 따위는 절대로 없습니다 【例】 今でこそおちぶれているが, 昔は 지금은 영락했을망정, 옛날에는. 3.[계(係)조사]〈「ば~」의 꼴로 뒤를 생략하여〉 전혀 그렇지 않음의 뜻을 암시함. 【例】 押しても引いても動かばこそ 밀어도 당겨도 움직이기는커녕 (꼼짝도 않다) 【例】 情け容赦も有らばこそ 인정 사정이 있기는커녕 (용서해 줄 기미는 전혀 없다). 4.[계(係)조사]힘주어 잘라 말할 때 씀. ((終助詞적으로 쓰며, 인사말로 고정된 것도 있음)) 【例】 ひどいやつだ.何よ, あなたこそ 지독한 녀석이군. 뭐요, 당신이야말로 【例】 これはこれは, ようこそ 이것 참, 잘 오셨습니다. <Ⅱ>[종(終)조사] 《고어》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희망을 나타냄. …해 다오. 〔참고〕 助動詞 「こす」의 命令形에서 변한 것이라 함. 상대(上代)에만 썼음. 【例】 梅の花散らずありこそ 매화꽃이여 지지 말고 있어 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