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味: みミみ[ミ] 五十音図 「ま」행(行)의 둘째 かな. ひらがな 「み」는 「美」의 초서체, かたかな 「ミ」는 「三」의 초서체.深み[深] [접두어] 《名詞 앞에 붙어》 그 말을 아름답게 표현하거나 어조를 고르는 데 쓰이는 말. 【例】 み雪 ‘눈’의 미칭.御み[御] [접두어] 《名詞 앞에 붙어》 존경이나 공손한 마음을 나타내는 말. 【例】 み仏 부처님 【例】 み世 성세(聖世) 【例】 み心のままに 뜻하시는 대로 【例】 神のみ姿 신의 거룩하신 모습.未み[未] [접두어] 미. 아직 이루어지지 않음을 뜻함. 【例】 み払い 미불 【例】 み成年 미성년.み <Ⅰ>〈形容詞(때로는 形容動詞)의 語幹에 붙어 이를 名詞로 만듦〉 1.정도·상태를 나타냄. 〔참고〕 「味」로도 씀. 【例】 甘み 단 정도. 단맛 【例】 黒み 검은빛. 검은 정도. 검은 부분 【例】 悲しみ 슬픔. 2.그런 상태에 있는 곳임을 나타냄. 【例】 木のしげみ 나무가 우거진 곳 【例】 深み 깊은 곳 【例】 弱み 약점. <Ⅱ>《고어》 〈形容詞 및 形容詞型으로 활용하는 助動詞의 語幹에 붙으며, 흔히 名詞+間投助詞 「を」 뒤에 이어져 원인·이유를 나타냄〉 …때문에. …이므로. 【例】 瀬を速み 여울이 빠르므로 【例】 野をなつかしみ一夜寝にける 들판을 떠나기 아쉬워 하룻밤 묵었도다. <Ⅲ>《고어》 〈活用語의 連用形에 붙어, 「…み…み」의 꼴로〉 동작이 번갈아 행해짐을 나타냄. 【例】 泣きみ笑ひみ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例】 降りみ降らずみ (비가) 오다가 말다가.味み[味] 1.[접미어][조수사] 음식(재료)의 가짓수를 세는 말. 【例】 七み唐辛子 고추를 비롯한 일곱 가지 재료를 섞은 양념. 2.[접미어]맛. 정취. 【例】 人情み 인정미.三み[三] [명사] 셋. 〔동의어〕みっつ·さん. 【例】 ひふみよ 하나 둘 셋 넷 【例】 二ひら, みひら 두 잎 세 잎.巳み[巳] [명사]『문어』 사. 1.[명사]십이지(十二支)의 여섯째. 뱀. 2.[명사]사시(巳時). ((현재의, 오전 10시 또는 오전 9시에서 11시까지의 사이)) 3.[명사]사방(巳方). 남남동(南南東).身み[身] <Ⅰ> 1.[명사]몸. 신체. 〔동의어〕体·身体. 【例】 6尺のみ 6척의 몸 【例】 腹もみの内 배도 몸의 일부. ((과음·과식을 경계하는 말)) 【例】 みを任せる 몸을 맡기다. 2.[명사]자기. 자신. 〔동의어〕自分. 【例】 みに覚えのない罪 자신도 모르는 죄 【例】 おとなしくした方がみのためだ 얌전하게 있는 편이 자신을 위해 이롭다. 3.[명사](물고기나 짐승의) 살. 【例】 骨ばかりでみが少ない 뼈만 있고 살은 적다 【例】 脂み 비곗살. 4.[명사]껍질을 제외한 나무의 속 부분. 5.[명사](뚜껑이 달린 그릇에서) 물건을 담는 부분. 6.[명사]칼집에 들어 있는 칼의 몸. 도신(刀身). 〔동의어〕刀身. 【例】 抜きみ (칼집)에서 뽑아 든 칼. 7.[명사]마음. 정성. 〔동의어〕心·真心. 【例】 みの入った仕事 정성을 들인 일. 8.[명사]신분. 지위. 분수. 【例】 みのほどを知らない 분수를 모르다 【例】 みを落とす 영락(零落)하다. 9.[명사](그 사람의) 입장. 처지. 【例】 妻子のあるみ 처자가 있는 몸 【例】 待つみは辛い 기다리는 처지는 괴롭다 【例】 わたしのみにもなって御覧なさい 내 처지가 되어 보세요 【例】 相手のみになって考える 상대방의 처지가 되어 생각하다. <Ⅱ>[대명사] 『문어』 1.[대명사]〈自称〉 나. 〔동의어〕己·我. 【例】 み共 우리 【例】 み, 不肖といえども 이 몸이 비록 불초하지만. 2.[대명사]〈他称〉 당신. 그대. 〔동의어〕あなた. 【例】 御み 그대. 慣用句 みが入·る 어떤 일에 열중하다. 【例】 仕事にみが入·る 일에 열중하다. みが持たな·い 1.건강을 유지할 수 없다. 체력이 안 되다. みから出た錆 (칼 그 자체에서 녹이 생겨 도신(刀身)을 삭게 한다는 뜻에서) 자업자득. 자승자박. 자작지얼. 【例】 君の失敗はみから出た錆だ 자네의 실패는 자업자득이다. みに余·る 분에 넘치다. 과분하다. 〔동의어〕身に過ぎる. 【例】 みに余·る光栄 분에 넘치는 광영. みに覚えがあ·る 자신이 그것을 한 기억이 있다. 짚이는 데가 있다. みに覚えの無·い 자기가 (나쁜 짓을) 한 적이 없다. 【例】 みに覚えの無·い疑いを掛けられる 자신이 알지도 못하는 일에 대해서 혐의를 받다. みに沁·みる 1.마음속 깊이 느끼다. 절실하게 느끼다. 【例】 彼の言葉はみに沁·みた 그의 말은 가슴에 사무쳤다. 【例】 寒さがみに沁·みる 추위가 몸속에 스며들다. みに付·く (지식·기술 등이) 몸에 배다. 완전히 제것이 되다. 【例】 みに付·いた芸 몸에 밴 재주[기술] 【例】 コンピューターの技術がなかなかみに付·かない 컴퓨터 기술이 좀처럼 익혀지지 않는다. みに付·ける·みに着·ける 1.입다. 몸에 걸치다. 〔동의어〕着る. 【例】 高価な服をみに付·けるみに着·ける 값비싼 옷을 몸에 걸치다. 【例】 大金をみに付·けるみに着·ける 큰돈을 지니다. 【例】 技術をみに付·けるみに着·ける 기술을 익히다. みにつまさ·れる (남의 불행 등이) 자기 처지와 같이 생각되다. 자신의 일처럼 동정이 가다. 【例】 わがみにつまされて涙がこぼれる 자기의 처지같이 생각되어 눈물이 나오다. みにな·る 1.〈「…の~」의 꼴로〉 그 사람의 입장이 되다. 【例】 彼のみになって見給え 그의 처지가 되어 보게 【例】 親のみになったら心配でたまらないだろう 부모의 입장이 되면 걱정이 되어 견딜 수 없을 것이다. 【例】 病人にみになるものを食べさせる 병자에게 보신이 될 것을 먹이다. みの置き所がな·い 몸둘 바를 모르다. 어찌할 줄 모르다. み二つにな·る 아이를 낳다. 해산하다. みも蓋も無·い 너무 노골적이어서 인간미도 함축(含蓄)도 없다. 너무 직접적이어서 서먹서먹하다. 【例】 そう言ってしまっては, みも蓋も無·い 너무 노골적으로 그렇게 말해 버리면 더는 할 말이 없어진다. みも世も無·い 체면이고 무어고 돌볼 겨를이 없다. ((슬픔이나 괴로움이 격심하여 제정신이 아닌 상태를 말함)) 【例】 みも世も無·く泣き崩れる 제정신이 아닌 듯 마구 울어대다. みを入·れる 정성을 쏟다. 【例】 仕事にみを入·れる 일에 정성을 쏟다. みを売·る 몸을 팔다. みを固·める 1.몸차림을 단단히 하다. 【例】 そのころは防空服でみを固·めて歩いた 그 당시는 방공 복장을 차려 입고 다녔다. 【例】 そろそろみを固·めても良い年だ 이제 슬슬 가정을 가져도 좋을 나이다. みを切ら·れる ⇒ 身を切る. みを切·る 괴로움이나 추위 등이 몹시 심한 모양. 살을 에다. 살을 도려내다. 〔동의어〕身を切られる. 【例】 みを切·る寒風 살을 에는 듯한 찬바람. みを砕·く 1.(일을 이루기 위해) 몸을 돌보지 않다. 몹시 노력하다. みを削·る 뼈를 깎다. 〔동의어〕骨身を削る. みを焦が·す (사랑으로) 몹시 애태우고 번민하다. 【例】 かなわぬ恋にみを焦がす 이룰 수 없는 사랑에 가슴을 태우다. みを粉に·する 몸이 가루가 되도록 열심히 일하다. 분골쇄신(粉骨碎身)하다. 【例】 みを粉にして働く 몸이 가루가 되도록 일을 하다. みを殺して仁を成す 제몸을 희생하여 도리를 지키다. 살신성인(殺身成仁)하다. みを沈·める 1.『문어』 물 속에 몸을 던져 자살하다. 〔동의어〕入水する. 【例】 苦界にみを沈·める 창녀로 전락하다. みを知る雨 (자신의 처지가 행복한지 불행한지를 깨닫게 하는 비라는 뜻에서) 눈물. みを捨ててこそ浮かぶ瀬もあれ 목숨을 버릴 각오가 서야만 살길을 찾을 수도 있다. みを捨·てる 자신을 돌보지 않다. 자신을 희생하다. みを立·てる 1.생계를 세우다. 【例】 医者としてみを立·てる 의사로서 생계를 세우다. 【例】 学問でみを立·てる 학문으로 출세하다. みを尽く·す 신명을 다하다. 정성을 바치다. みを投·じる 1.몸을 던지다. 【例】 革命にみを投·じる 혁명에 투신하다. みを投·げる 1.몸을 던지다. 투신 자살하다. 【例】 川にみを投·げる 강물에 몸을 던지다. みを開·く (상대를 피하기 위해) 몸을 홱 돌리다. 몸을 돌려 비키다. みを任·せる 1.몸을 내맡기다. 【例】 絶望にみを任·せる 절망에 몸을 내맡기다. みを持ち崩·す 몸가짐을 그르치다. 신세를 망치다. 타락하다. 방탕에 빠지다. 【例】 酒とばくちでみを持ち崩·す 술과 도박으로 신세를 망치다. みを以て 1.자기 몸으로. 몸소. 〔동의어〕みずから. 【例】 みを以て手本を示す 몸소 본보기를 보이다. 【例】 みを以て逃れる 간신히 몸만 빠져 나오다. みを寄·せる 1.몸을 의지하다. 기식(寄食)하다. 【例】 両親を失っておじの家にみを寄·せた 양친을 여의고 숙부 집에 몸을 의지하였다.実み[実] 1.[명사]열매. 씨앗. 【例】 木のみ 나무 열매 【例】 みがなる 열매가 열리다 【例】 みをまく 씨를 뿌리다. 2.[명사]알맹이. 내용. 【例】 みのない話 내용 없는 이야기. 3.[명사]국거리. 국 건더기. 【例】 みの少ない味噌汁 건더기가 적은 된장국. 慣用句 みが入·る 열매가 익다. みを結·ぶ 열매를 맺다. 좋은 결과가 나타나다. 【例】 不断の努力がみを結·ぶ 부단한 노력이 결실을 보다.箕み[箕] [명사]『농학·농림·농업』 키. 【例】 みでふるう[あおる] 키로 까불다. 키질하다.味み[味] 1.맛. 【例】 甘味 감미 【例】 味覚 미각 【例】 珍味 진미 【例】 調味料 조미료. 2.맛보다. 【例】 吟味 음미 【例】 味読 미독 【例】 賞味 상미. 3.뜻. 내용. 【例】 意味 의미 【例】 気味 기미 【例】 地味 수수함 【例】 正味 정미.弥み[(인명용 한자)弥] 1.깁다. 【例】 弥縫 미봉. 2.두루 미치다. 【例】 弥漫 미만. 3.범어·외국어 「ミ」의 차자. 【例】 弥撒 미사 【例】 阿弥陀 아미타 【例】 弥勒 미륵.未み[未] 1.(아직) 미치지 않음. 그 상태가 아님. 그런 일이 없었음. 【例】 未完 미완 【例】 未明 미명 【例】 未定 미정 【例】 未刊 미간 【例】 未亡人 미망인 【例】 未納 미납 【例】 未来 미래 【例】 未満 미만. 2.십이지(十二支)의 여덟째. 【例】 癸未 계미.魅み[魅] 1.도깨비. 요괴. 【例】 魑魅 이매. 2.매료하다. 【例】 魅力 매력 【例】 魅惑 매혹 【例】 魅了 매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