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味: 輿腰こし[腰] <Ⅰ> 1.[명사]허리. 【例】 こしが痛い 허리가 아프다 【例】 こしが曲がる 허리가 굽다 【例】 こしを曲げる 허리를 굽히다 【例】 木の株にこしを下ろす 나무 그루터기에 앉다. 2.[명사](옷의) 허리. 또는 그 부분. 【例】 洋服のこし 양복의 허리. 3.[명사]산허리. 【例】 山のこしがかすむ 산 허리가 안개로 뿌옇다. 4.[명사]벽·미닫이 등의 중간보다 약간 아래 부분. 【例】 こしから下がガラスの障子 중간 아래 부분이 유리로 된 미닫이. 5.[명사]和歌의 셋째 구. 【例】 こし折れ歌 셋째 구와 넷째 구의 연결이 서툰 和歌. 변하여 서툰 和歌. ((자작의 和歌에 대한 겸사말)) 6.[명사]탄력성. 끈기. 찰기. 【例】 こしの強い紙 질긴 종이 【例】 こしの強いもち 찰기가 있는 떡 【例】 こしのあるそば 질긴 모밀국수. 7.[명사]무엇을 하려는, 또는 할 때의 기세. 【例】 話のこしを折る 말허리를 꺾다. 말참견하여 말할 기분을 잡치게 하다 【例】 計画のこしを折る 계획을 훼방놓다. 8.[명사]자세. 태도. 【例】 こしが定まらない 자세가 안정되지 않다. <Ⅱ> 1.[접미어]자세. 태도. 【例】 けんかこし[ゴシ] 싸우려는 자세. 시비조 【例】 逃げこし[ゴシ] 도망치려는 자세. 2.[접미어][조수사] 허리에 두르거나 차는 물건을 세는 말. 【例】 太刀一こし 큰 칼 한 자루 【例】 袴一こし 袴 한 벌. 慣用句 こしがある 끈기, 탄력이 있다. 【例】 こしがある紙 탄력이 있는 종이. こしが重·い 좀처럼 행동하려 하지 않다. こしが折·れる (방해를 받아) 일이 도중에서 무산되다. こしが砕·ける 1.자세가 흐트러지다. 【例】 こしが砕·けて倒れる 자세가 흐트러져서 넘어지다. 【例】 こしが砕·けて交渉は失敗に終わった 기세가 수그러져[김이 빠져] 교섭은 실패로 끝났다. こしが高·い 거만하다. 고자세이다. 〔반의어〕 腰が低い. 【例】 あの人はこしが高·いから嫌われる 저 사람은 거만하기 때문에 (남들이) 싫어한다. こしが強·い 1.마음이 강하여 남에게 굴하지 않다. 줏대가 있다. こしが抜·ける (몹시 놀라거나 겁을 먹어) 엉덩방아를 찧다. 일어서지 못하다. 기겁을 하다. 〔동의어〕腰を抜かす. 【例】 驚いてこしが抜·ける 놀라서 그 자리에 주저앉다. こしが低·い 겸손하다. 저자세이다. 〔반의어〕 腰が高い. 【例】 彼は誰に対してもこしが低·い 그는 누구에게나 겸손하다. こしが弱·い 1.마음이 약하다. 패기가 없다. 【例】 こしが弱·くなる 마음이 약해지다. 【例】 この糊はこしが弱·い 이 풀은 찰기가 없다. こしに梓の弓を張·る ⇒ 腰に弓を張る. こしに付·ける 1.(칼 등을) 허리에 차다. 【例】 刀をこしに付·ける 칼을 허리에 차다. こしに弓を張·る 늙어서 허리가 활 모양으로 굽다. 〔동의어〕腰に梓の弓を張る. こしを上·げる 1.(앉았던 자리에서) 일어서다. 【例】 やっとこしを上·げる気になる 겨우 일어설 마음이 일다. 【例】 当局もついに重いこしを上·げた 당국도 마침내 미적미적 착수하기 시작했다. こしを入·れる (무슨 일에) 본격적으로 덤벼들다. 【例】 もっとこしを入·れてやってもらいたい 좀더 본격적으로 해 주었으면 좋겠다. こしを浮か·す (일어서려고) 엉덩이를 들다. 【例】 こしを浮かしたとたん 자리에서 일어서려는 순간. こしを落ち着·ける 1.마음놓고 앉다. 【例】 どこにもこしを落ち着·けるところがない 아무데도 마음놓고 앉아 있을 데가 없다. こしを折·る 1.허리를 굽히다. 【例】 こしを折·ってあいさつをする 허리를 굽혀 인사를 하다. こしを掛·ける 걸터앉다. 【例】 ベンチにこしを掛·ける 벤치에 걸터앉다. こしを据·える 1.(한눈을 팔지 않고) 한 가지 일에만 전념하다. 【例】 夏休みにはこしを据·えて古典を読もう 여름 방학에는 집중적으로 고전을 읽자. 【例】 当分ここにこしを据·えて働くつもりだ 얼마 동안 이곳에 자리잡고 일할 작정이다. こしを抜か·す 1.깜짝 놀라다. 기겁을 하다. 【例】 こしを抜かして逃げる 깜짝 놀라[기겁을 하여] 도망가다. こしを割·る (일본 씨름에서) 양다리를 벌리고 무릎을 굽혀서 허리를 낮게 하다.層|階こし[層|階] [명사]《고어》 (건축물의) 층(層)의 단위.古史こし[古史] [명사] 고사. 고대의 역사.古址|古趾こし[古址|古趾] [명사]『문어』 고지. 고적. 예전에 성곽이나 건조물이 있었던 터.古祠こし[古祠] [명사]『문어』 고사. 오래된 사당.古詩こし[古詩] [명사] 고시. 1.[명사]옛 시. 2.[명사]한시체(漢詩體)의 하나. 고체시(古體詩). 〔반의어〕 近体詩.虎視こし[虎視] [명사·サ변격 활용 자·타동사]『문어』 호시. 호랑이처럼 날카로운 눈초리. 또는 그 날카로운 눈으로 노려봄. 〔참고〕 비유적으로, ‘기회를 노림’의 뜻으로도 씀.故紙|古紙こし[故紙|古紙] [명사]『문어』 못 쓰게 된 종이. 휴지. 〔동의어〕反故.枯死こし[枯死] [명사·サ변격 활용 자동사] 고사. 초목이 말라서 죽음.輿こし[輿] 1.[명사]옛날, 귀인이 타던 가마. 【例】 玉のこしに乗る 미천한 여자가 부잣집[높은 집안]으로 시집을 가다. 2.[명사]신체(神體)를 모신 가마. 〔동의어〕みこし·神輿.越こし[越] [명사]『지리·지학·지명』 「北陸道」의 옛일컬음. 〔동의어〕越路.ヨよ[ヨ] 五十音図 「や」행(行)의 다섯째 かな. ひらがな 「よ」는 「与」의 초서체, かたかな 「ヨ」는 「与」의 오른쪽 일부분을 취한 것.四よ[四] [명사] 넷. 〔동의어〕よっつ·し. 【例】 三, よ年 3,4년.世よ[世] 1.[명사]세상. 사회. 세간(世間). 〔동의어〕世の中·世間. 【例】 よの営み 세상살이 【例】 よの移り変り 세상의 변천 【例】 よのため人のために尽くす 사회를 위해 남을 위해 봉사하다 【例】 よに出て活躍する 사회에 나가 활약하다 【例】 人間のよは住みにくい 인간 세상은 살기가 힘들다. 2.[명사]시대. 세대. 【例】 明治のよ 明治 시대 【例】 徳川のよ 徳川 시대. 3.[명사]때. 시세(時世). 【例】 よに逢う 때를 만나다. 4.[명사]한평생. 생애. 일생. 【例】 わがよの春 내 생애 최고의 시절 【例】 よを尽くす ㉠일생을 마치다.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마음껏 하다. 5.[명사]나라. 국가. 【例】 君がよ 우리 천황의 치세 【例】 よを治める 나라를 다스리다 【例】 戦乱のよ 전란의 세상. 6.[명사]『불교』 과거·현재·미래의 하나하나. 불교의 삼세(三世). 【例】 あのよ 저승 【例】 このよの見納めに 이승과의 마지막 이별로 【例】 来むよ 내세(來世) 【例】 先のよ 전세. 7.[명사]『문어』 남녀의 정. 남녀 관계. 【例】 よをまだ知らぬにもあらず 남녀의 정을 아직 모르는 바도 아니다. 8.[명사]『문어』 나이. 연령. 〔동의어〕よわい. 【例】 年暮れてわがよふけゆく 해를 보내니 내 나이만 드는구나 【例】 君がよもわがよも 그대 나이도 내 나이도. 9.[명사]한 사람이 가독(家督)을 상속하여 그 집안을 다스리는 기간. 대(代). 〔참고〕 2.3.4.5.9.는 「代」로도 씀. 【例】 孫によを譲る 손자에게 대를 물리다. 慣用句 よが世なら 옛날처럼 좋은 세상이었다면. 그 사람이 잘 살던 시대였더라면. よに逢·う 때를 만나다. よに入れら·れる 세상에서 인정받다. 【例】 彼の作品がようやくよに入れられた 그의 작품이 이제 겨우 인정받았다. よに聞こ·える 세상에 알려지다. 평판이 나다. よに知ら·れる 세상에 알려지다. 유명해지다. よに背·く 세상을 등지다. よに立·つ 세상에 나가다. 출세하다. 【例】 伝道師としてよに立·とうと思っています 전도사로서 세상에 나가려 합니다. よに·出る 1.세상에 나가다. よに問·う 세상에 발표하여 그 평가를 구하다. よを挙げて 온 세상이 다함께. 세상 사람들이 모두. 【例】 いまやよを挙げて情報化時代である 바야흐로 세상이 온통 정보화 시대이다. よを去·る 세상을 떠나다. 죽다. 【例】 彼は80才でよを去·った 그는 80세에 세상을 떠났다. よを忍·ぶ 남의 눈을 피해 숨어 지내다. 【例】 よを忍·ぶ風情 숨어 사는 모습. よを捨·てる 1.출가(出家)하다. よを背·く 속세를 떠나다. 세속을 버리다. 은둔하다. よを遁·れる 속세를 떠나 출가(出家)하다. 은둔하다. よを渡·る 처세하다. 세상을 살아가다. 【例】 よを渡·るすべを心得ている 세상 살아 가는 요령을 터득하고 있다.余よ[余] <Ⅰ> 1.[명사]〈흔히 「の~」의 꼴로〉 …남짓. 여. 〔동의어〕あまり·残り. 【例】 二月のよを病院ですごした 2개월여를 병원에서 지냈다. 2.[명사]그 밖. 그 이외. 【例】 よの事はわからない 그 밖의 일은 모른다. <Ⅱ>[접미어]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여. 남짓한. 【例】 5万よ円 5만여 엔 【例】 1年よにして 1년 남짓하여.夜よ[夜] [명사] 밤. 〔동의어〕よる. 〔참고〕 「よる」에 비하여 독립적 용법이 한정되어 있음. 【例】 よが明ける 날이 새다 【例】 よの目も寝ずに 밤새 자지 않고. 밤을 지새우고 【例】 よがふける 밤이 깊어 가다 【例】 よを通す 철야하다. 慣用句 よも日も明けな·い 그것 없이는 한시도 지낼 수 없을 만큼 애지중지하다. 【例】 女房なしにはよも日も明けない 마누라 없이 한시도 지낼 수 없다. よを明か·す 밤을 새우다. 철야하다. よを籠めて 아직 어두운 동안에. 날이 새기 전에. よを徹する 밤을 새우다. 철야를 하다. よを日に継·ぐ 밤낮없이[쉴 새 없이] 계속하다. 주야 겸행하다.節よ[節] 1.[명사]대나무나 갈대 등의 마디와 마디 사이. 2.[명사](변하여) 마디.輿よ[輿] [명사] 여(輿). 가마.予|余よ[予|余] [대명사] 《自称의 人代名詞》 여. 나. 〔동의어〕われ·わたくし. 〔참고〕 옛날에는 자칭의 대명사로 썼고, 明治·大正 무렵에는 격식차린 문장이나 연설 등에서 썼음. 【例】 よは満足じゃ 여는 만족스럽도다.よ <Ⅰ> 1.[종(終)조사]『문어』 〈体言에 붙어〉 ㉠부름을 나타냄. …이여. …여. …야. …아. ㉡영탄(詠嘆)을 나타냄. …이여. 〔참고〕 감동의 뜻을 나타낼 때도 있음. 【例】 友よ 친구여 【例】 ふるさとよ 고향이여 【例】 風よ, 吹け 바람아 불어라 【例】 もしもし, 亀よ亀さんよ 여보 여보, 거북아 거북님이여 【例】 げに月日経つ事の早さよ 참으로 흘러가는 세월의 빠름이여. 2.[종(終)조사]〈문말(文末)의 여러 가지 말에 붙음〉 ㉠상대에게 알리는 뜻을 나타냄. …요.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말에 호응하여〉 상대를 나무라는 뜻을 나타냄. ㉢〈명령 표현이나 금지의 조사 「な」에 붙어〉 명령·권유·부탁·금지의 뜻을 힘주어 나타냄. ㉣〈推量의 助動詞 「う」 「よう」에 붙어〉 권유·강요·체념의 뜻을 나타냄. 〔참고〕 活用語에는 終止形·命令形에 붙음. 終止形에 붙는 경우, 남성어에서는 그 終止形에 직접 붙고, 여성어에서는 終助詞 「わ」나 「こと」를 사이에 두고 붙음. 단, 断定의 助動詞 「だ」 또는 形容動詞에 붙는 경우에는, 여성어에서는 「だわ」 「だこと」를 생략하고 体言, 準体助詞 「の」 또는 形容動詞 어간에 직접 붙을 때도 있음. 命令形에 직접 붙는 꼴은 일반적으로 남성어에 한하지만, 「なさい」 「いらっしゃい」 등 공손한 명령 표현에 붙는 꼴은 여성어에서도 씀. 또한 終助詞 「か」 혹은 금지의 終助詞 「な」에 붙는 꼴은 남성어에 한함. 친한 사이의 허물없는 대화에서 쓰임. 【例】 一大珍報をもたらして来たんだよ 굉장히 희한한 소식을 가지고 왔다네 【例】 「高等学校の学生さんよ」とつぶやいた ‘고등 학교 학생이에요’라고 중얼거렸다 【例】 わたしをだましたのよ 나를 속였단 말이에요 【例】 まだ8時よ 아직 8시에요 【例】 あの人はいい人よ 저이는 좋은 사람이에요 【例】 だいじょうぶだよ 걱정 없어요 【例】 それは違うよ 그건 틀려요 【例】 今度はあなたの番よ 이번엔 당신 차례예요 【例】 これは美味しいわよ 이건 맛있어요. 【例】 何言ってるのよ 무슨 말을 하는 거요 【例】 急にそんなこと言い出して, どうしたのよ 갑자기 그런 말을 끄집어내다니 어쩐 일이에요. 【例】 考えて見ろよ 생각해 보게나 【例】 早くしろよ 빨리 하여라 【例】 そう怒るなよ 그렇게 화내지 말아요 【例】 ちょっと待ってよ 좀 기다려 줘요. 【例】 そろそろ行きましょうよ 슬슬 가 봅시다 【例】 行こうよ 가자구나 【例】 どうせわたしでは駄目なんでしょうよ 어차피 저는 안 되겠지요 【例】 いやだよ 싫어요. <Ⅱ>[문투(問投)조사] 《주로 청소년 사이에서 허물없이 주고받는 대화에 씀》 어조를 고르거나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さ」에 비하면 거친 감이 강함. 이것이 더 강해지면 「よう」의 꼴이 됨. ㉡「だよ」 「ですよ」의 꼴이 쓰이는 경우가 있지만, 이때는 거친 감이 없음. 仮定을 나타내는 표현 등에서는 「だ」 「です」를 생략한 꼴로 여성도 씀. 【例】 きのう図書館へ行ったらよ, 休館だったんだ 어제 도서관에 갔더니말이야, 휴관이었어 【例】 もしもだよ, 君だったらどうする 만일에 말이지, 자네 같으면 어떻게 하겠나? 【例】 もしもですよ, 失敗したらどうしますか 만일에 말이죠, 실패한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例】 仮によ, 「愛してる」って言われてもだまされないわ 만약에 말이예요, ‘사랑하고 있다’고 말하더라도 속지 않을 거예요.与よ[与] 1.주다. 【例】 与件 여건 【例】 給与 급여 【例】 与奪 여탈 【例】 授与 수여 【例】 賞与 상여 【例】 寄与 기여. 2.한 동아리가 되다. 【例】 与党 여당 【例】 参与 참여.予よ[予] 1.미리. 【例】 予定 예정 【例】 予告 예고 【例】 予言 예언 【例】 予備 예비 【例】 予算 예산 【例】 予報 예보 【例】 予感 예감 【例】 予防 예방. 2.여유 있게 잡다. 꾸물거리다. 【例】 猶予 유예. 3.「伊予の国」의 준말. 【例】 予州 현재의 愛媛현.余よ[余] 1.여분이 있다. 우수리가 있다. 【例】 余力 여력 【例】 余地 여지 【例】 余生 여생 【例】 余白 여백 【例】 余韻 여운 【例】 残余 잔여 【例】 百有余年 백유여 년. 2.본디와는 다른 것. 【例】 余技 여기 【例】 余談 여담 【例】 余興 여흥 【例】 余罪 여죄 【例】 余念 여념. 3.나. 【例】 余輩 우리들.誉よ[誉] 칭찬함. 좋은 평판. 【例】 栄誉 영예 【例】 名誉 명예 【例】 声誉 성예 【例】 毁誉褒貶 훼예 포폄.輿よ[輿] 1.가마. 【例】 神輿 신여 【例】 車輿 수레차. 가마 【例】 駕輿丁 교군꾼 【例】 乗輿 승여. 2.세계. 지구. 대지(大地). 【例】 輿地 여지. 세계 【例】 輿地図 여지도. 세계지도 【例】 輿図 여도. 여지도. 3.사회. 무리. 【例】 輿望 여망 【例】 輿論 여론.預よ[預] 1.미리. 사전에. ((「予」와 같은 뜻임)) 【例】 預言 예언. 2.금품을 타인에게 맡기다. 【例】 預金 예금 【例】 預託 예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