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味: 矩印かね[印] [명사] ⇒ やきがね.金かね[金] 1.[명사]금속. 특히, 금·은·철·구리 등. 【例】 かねの箸 쇠젓가락. 2.[명사]돈. 금전. 화폐. 재산. 〔동의어〕ぜに·おかね. 【例】 かねの心配 돈 걱정 【例】 かねに困る 돈에 곤란받다 【例】 かねで買う 돈으로 사다 【例】 かねがかかる 돈이 들다 【例】 かねをためる 돈을 모으다 【例】 かねをもうける 돈을 벌다 【例】 かねを盗む 돈을 훔치다. 慣用句 かねが唸·る 돈이 엄청나게 많다. かねが敵 돈이 원수. かねが子を産·む 돈이 새끼를 치다. 돈에 이자가 붙다. かねが物を言·う 돈이 말하다. 곧, 돈이 큰 힘을 가지다. かねに飽か·す (어떤 일을 위해) 돈을 아끼지 않고 쓰다. 【例】 かねに飽かして建てた豪邸 돈을 아끼지 않고 지은 호화 주택. かねに糸目を付けな·い 돈을 아끼지 않고 내다[쓰다]. 【例】 自分のやりたいことにはかねに糸目を付けない 자기가 하고 싶은 일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かねに·する (팔아서) 돈으로 바꾸다. かねにな·る 돈이 되다. 벌이가 되다. かねに目が眩·む 돈에 눈이 멀다. かねの切れ目が縁の切れ目 돈으로 맺어진 관계는 돈 떨어지면 끊어진다. ((흔히 남녀 관계를 두고 이름)) かねの生る木 돈이 열리는 나무. 끊임없이 돈이 생기는 근원이 되는 것. かねの草鞋で捜·す (아무리 걸어도 닳지 않는 쇠짚신을 신고 찾는다는 뜻에서) 온갖 수단을 써서 끈질기게 찾아다니다. 얻기 힘든 사물의 비유. 〔동의어〕かねのわらじでたずねる. かねは天下の回り持ち 돈은 돌고 도는 것. 〔동의어〕金は天下の回りもの. かねを食·う (많은) 돈을 잡아먹다. 많은 돈이 들다. 【例】 この事業はあまりにもかねを食·う 이 사업은 돈이 너무 많이 든다. かねを寝か·す 돈을 사장(死藏)하다.矩かね[矩] 1.[명사]곱자. 곡척. 〔동의어〕曲尺. 2.[명사]직선. 직각.鉦かね[鉦] [명사] 꽹과리. 징. 慣用句 かね太鼓で捜·す 여럿이 야단법석을 떨며 찾다. 【例】 あんないい女房はかね太鼓で捜·しても見つからない 저런 좋은 마누라는 야단법석을 떨고 찾아도 구할 수 없다.鉄漿かね[鉄漿] [명사] 철장. 쇠를 물 또는 초에 담가 산화시켜서 얻은 암갈색의 액체. ((주로 옛날에 이를 검게 물들이는 데 썼음)) 〔동의어〕おはぐろ.鐘かね[鐘] 1.[명사]종. 【例】 かねが鳴る 종이 울리다 【例】 かねをつく 종을 치다. 2.[명사]종소리. 〔참고〕 「一口, …」또는 「一口, …」로 셈. 【例】 夕べのかねを聞く 저녁 종소리를 듣다.クく[ク] 五十音図 「か」행(行)의 셋째 かな. ひらがな 「く」는 「久」의 초서체, かたかな 「ク」는 「久」의 왼쪽을 취한 것.く [접미어]《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例】 子いわく 자왈. 공자(孔子) 가라사대 【例】 願わくは花のもとにて春死なん 원컨대 꽃 그늘 아래서 봄에 죽고 싶구나.九く[九] [명사]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例】 く分く厘 ㉠구 푼 구 리. ㉡십중팔구.口く[口] <Ⅰ>[명사] 『불교』 입. 말. <Ⅱ>[조수사]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例】 盆五く 쟁반 다섯 개.区く[区] <Ⅰ>[명사] 구. 1.[명사]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例】 どのくから立候補するか 어느 구에서 입후보할 것인가? 2.[명사]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例】 くの財政 구의 재정. <Ⅱ>[접미어] 구. 지역. 【例】 選挙く 선거구.句く[句] <Ⅰ> 1.[명사]『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2.[명사]『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3.[명사]『언어학』 관용구. 4.[명사]『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5.[명사]⇒ 俳句. <Ⅱ>[조수사]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例】 三くえらびだす (俳句) 3구를 골라 내다.苦く[苦] 1.[명사]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例】 くあれば楽あり 괴로움이 있으면 낙이 있다. 2.[명사]노고(勞苦). 고생. 곤란. 【例】 くの種 고생거리. 3.[명사]근심. 걱정. 고민. 慣用句 くに·する 괴로워하다. 걱정하다. 싫어하다. 【例】 貧乏なんか一向くにしない 가난 따위는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 くにな·る 마음에 걸리다. 걱정되다. 【例】 暑さなどくにならない 더위 따위는 걱정 없다. くに病·む 고민[걱정]하다. くは楽の種 고생은 낙의 씨앗. 고생 끝에 낙이 온다. くも無く 힘들이지 않고. 어렵지 않게. 쉽사리. 【例】 彼女はくも無くその迷路を通り抜けた 그녀는 어렵지 않게 그 미로를 빠져 나갔다.躯く[躯] <Ⅰ>[명사]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Ⅱ>[조수사]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例】 菩薩像一く 보살상 한 좌.懼く[懼] [명사]『문어』 두려워함. 두려움.来く[来] [カ 行 활용 자동사]『문어』 《「来る」의 文語》 1.[カ 行 활용 자동사]오다. 2.[カ 行 활용 자동사]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区く[区] 1.구분하다. 구획짓다. 【例】 区分 구분 【例】 区別 구별 【例】 区間 구간 【例】 区画 구획 【例】 区域 구역 【例】 地区 지구. 2.행정상의 구획. 【例】 区会 구회. 구의회 【例】 区政 구정. 구 행정 【例】 学区 학구 【例】 選挙区 선거구.句く[句] 1.말이나 문장의 단락. 간추려진 한 토막의 말. 【例】 句点 구점 【例】 語句 어구 【例】 字句 자구 【例】 慣用句 관용구. 2.시가(詩歌) 등의 한 단락. 【例】 起句 기구 【例】 結句 결구 【例】 対句 대구 【例】 転句 전구. 3.俳諧·連歌·俳句의 작품. 또는 그 단위. 【例】 発句 첫째 구 【例】 句会 俳句를 짓거나 비평하거나 하는 모임.懼く[懼] 두려워하다. 흠칫흠칫하다. 위태로워하다. 【例】 畏懼 외구 【例】 危懼 위구 【例】 恐懼 공구.矩く[(인명용 한자)矩] 1.자. 곱자. 【例】 規矩 규구. 2.사각. 【例】 矩形 구형.苦く[苦] 1.쓰다. 씁쓸하다. 【例】 苦味 쓴맛 【例】 苦笑 고소. 쓴웃음. 2.노력하다. 애를 쓰다. 【例】 苦役 고역 【例】 苦学 고학. 3.괴롭다. 괴로워하다. 번민하다. 【例】 苦痛 고통 【例】 苦悩 고뇌 【例】 四苦 사고 【例】 七難八苦 칠난팔고.駆く[駆] 1.말을 몰다. 뛰어다니다. 【例】 疾駆 질구 【例】 先駆 선구. 2.몰아내다. 내쫓다. 【例】 駆除 구제 【例】 駆逐 구축.駒く[(인명용 한자)駒] 망아지. 말. 【例】 白駒 백구 【例】 駒隙 구격. 세월이 빨리 지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