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味: 手爾遠波弖爾乎波|手爾遠波てにをは[弖爾乎波|手爾遠波] 1.[명사]『언어학』 한문을 훈독(訓讀)할 때 보충해서 읽어야 할 助詞·助動詞·用言의 어미·接尾語 등의 총칭. 江戸 시대에는 주로 助詞·助動詞를 가리키는 때가 많았고, 明治 이후에는 특히 助詞를 가리킴. 〔참고〕 옛날, 한문을 훈독할 때의 한자의 읽기를 나타내기 위한 「乎古止点」에서는, 한자의 네 구석에 붙인 훈점(訓點)이 왼쪽 아래에서부터 위로 돌아가면서 차례로 「て」 「に」 「を」 「は」를 나타냈음. 2.[명사]助詞·助動詞 등의 사용법. 말의 사용법. 어법. 3.[명사]이야기의 전후 관계. 조리. 1.~3. 〔동의어〕てには. 【例】 話のてにをはがおかしい 이야기의 앞뒤가 이상하다. 慣用句 て-に-を-はが合わな·い 말의 앞뒤[조리]가 맞지 않다. 이치가 닿지 않다. 〔동의어〕てにはが合わない. 【例】 てにをはが合わない文章 어법이 맞지 않는 문장.